안녕하세요 엘입니다.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128) 오스트리아-테센의 레나타 : 공작 프리드리히의 조카
오스트리아-테센의 레나타 여대공
라지비우 공비
Archduchess Renate of Austria
(2 January 1888 – 9 December 1935)
오스트리아-테센의 레나타 마리아 여대공은 1888년 1월 오스트리아-테센의 카를 슈테판 대공과 그의 부인인 토스카나의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합스부르크 가문중 테센 분가의 출신이었으며 그녀의 어머니는 토스카나 분가 출신이었죠. 레나타라는 이름은 둘째딸이라서 이렇게 지은듯합니다. 아마도 형인 프리드리히에게서도 계속 딸만 태어나고 있었는데 그도 큰딸에 이어서 둘째도 딸이어서 실망한듯한 뉘앙스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레나타 여대공의 부모
오스트리아-테센의 카를 슈테판과 토스카나의 마리아 테레지아
레나타 여대공은 언니인 엘레오노르 여대공이나 여동생인 메흐틸디스 여대공처럼 가정교사에게서 배웠으며 주로 언어를 집중적으로 배웠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런 상황은 그녀의 가족관계등과 무관하지 않았을듯합니다.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이기에 독일어는 당연히 배워야했으며 또 외가가 토스카나 대공가였기에 이탈리아어를 해야했을듯합니다. 또 당대 교양어인 프랑스어는 당연한것이었으며 요즘도 그렇듯이 영어도 필수요소였을듯합니다. 게다가 가문의 영지는 주로 폴란드에 있었기에 폴란드어 역시 배우게 되었던듯합니다.
카를 슈테판 대공은 물려받은 재산이 많았고 이때문에 레나타 여대공은 역시 부유한 어린시절을 보냈었습니다.
카를 슈테판 대공은 폴란드 쪽 영지가 많았으며 이때문에 폴란드에 정착하길 원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합스부르크가문쪽의 폴란드 분가를 세우길 바랬었죠. 이를 위해 딸들을 폴란드의 유력인사들과 결혼시키려고 노력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의 큰딸은 자신의 부하와 사랑에 빠졌었죠. 카를 슈테판 대공은 둘째딸인 레나타 여대공은 원하던 남편감을 구할수 있었다고 합니다. 바로 폴란드의 유력한 귀족이자 부유한 지주였던 히로님 라지비우 공(Prince HieronimRadziwill) 이었습니다.
히로님 라지비우 공
나이든후
라지비우 가문은 폴란드쪽의 오래된 가문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시절의 통치가문의 후손이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이 가문은 후에 폴란드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통치왕가의 후손이 아니라 그냥 일반 귀족가문으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라지비우 가문은 합스부르크의 여대공이 동등한 결혼으로 인정될만한 가문은 아니었지만 폴란드의 유서깊은 가문이었죠.
1908년 9월 약혼이 발표되었으며 1909년 1월 둘은 결혼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결혼에서 레나타 여대공은 자신의 타이틀과 지위를 포기하고 HSH Princess로만 불리게 됩니다. 1차대전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이 붕괴될때 그녀의 집안이 폴란드에서 영지를 지킬수 있었던것은 이런 결혼으로 인한 연결고리때문이었다고도 합니다.
라지비우 공 부부
레나타와 히로님 사이에서는 모두 여섯명의 아이가 태어납니다. 그중 둘째아이인 도미닉은 후에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인 에우게니 공주(게오르기오스 1세의 손녀로, 게오르기오스 왕자와 마리 보나파르트의 딸)과 결혼했었다고 합니다.
레나타는 이후 폴란드에서 거주했으며 1935년 사망합니다. 그녀의 남편은 2차대전말까지도 살아있었다고 합니다.하지만 소련군에게 잡혀서 크로아티아 수용소로 끌려간뒤 사망했다고 합니다. 폴란드가 공산화 되면서 레나타의 가족들이 가지고 있었던 부 역시 사라졌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위키 피디어
그림출처
위키 미디어 커먼스
'역사이야기 > 합스부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130) 헝가리-팔라틴 분가 (0) | 2015.05.19 |
---|---|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129) 오스트리아-테센의 메흐틸디스 : 공작 프리드리히의 조카 (0) | 2015.05.12 |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127)오스트리아-테센의 엘레오노라 : 공작 프리드리히의 조카 (0) | 2015.04.28 |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126)오스트리아-테센의 이자벨라 : 공작 프리드리히의 딸 (0) | 2015.04.21 |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125) 오스트리아-테센의 마리아 헨리에타 : 공작 프리드리히의 딸 (0) | 201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