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고있는글들/화요일 : 에스파냐

[Isabel] 카스티야와 레온의 이사벨 1세 (두번째)

엘아라 2015. 3. 11. 06:00

안녕하세요 엘입니다.


흑...영어자막을 구할수가 없어요.

에스파냐어로 그림만 보니 당췌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많더라는...-0-;;;;


[Isabel] 카스티야와 레온의 이사벨 1세 (두번째)




스티야의 이사벨 1세

카스티야와 레온의 여왕

에스파냐의 공동군주

Isabella I 

(IsabelYsabel)

(22 April 1451 – 26 November 1504)


카스티야의 내전 상황은 종종 있어왔었는데, 이를테면 이사벨의 고조부모였었던 페드로 1세 와 엔리케 2세는 형제간으로 둘은 왕위를 두고 카스티야의 내전상황을 이르게 했으며,이상황은 페드로 1세의 딸들이었던 콘스탄사와 이사벨이 잉글랜드 왕자들과 결혼해서 카스티야 왕위계승을 주장하기도 했었고 결국 콘스탄사의 딸이었던 랭카스터의 캐서린과 엔리케 2세의 손자인 엔리케 3세가 결혼해서 이사벨의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되기도 했었죠.



각각 잉글랜드와 프랑스를 동맹으로 두고 서로 싸우고 있는 페드로와 엔리케 2세


이사벨이 세고비아에 있었던 때도 이사벨의 이복오빠인 엔리케 4세에 대해서 귀족들이 반발했으며 그의 딸인 후아나를 왕위계승자로 인정하지 않고 이사벨의 동생인 알폰소를 엔리케의 후계자로 인정하라고 요구하고 있었습니다. 결국 카스티야에서는 내전상황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알폰소측이 승리하므로써 알폰소와 엔리케의 딸인 후아나가 결혼을 약속하면서 알폰소의 계승권을 확고하게 만듭니다.


Cartuja de Miraflores (Burgos) - Tumba de Alfonso de Castilla - Detalle

이사벨의 남동생 

알폰소


이때 이사벨은 아마도 자신의 운명이 정치문제와 직결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을듯합니다. 엔리케4세는 포르투갈의 동맹을 얻어내기 위해 이사벨을 처남인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와 결혼시키려했습니다. 물론 이사벨은 이를 거부했었죠. 이후 다시 이사벨은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권력자였던 후안 파체코의 동생인 페드로 기론 파체코와 결혼하라는 압력을 받았습니다. 포르투갈의 국왕은 거절했지만 페드로는 거절할수 없었던 이사벨은 신께 그와 결혼하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했는데 페드로는 이사벨과의 결혼 협상을 위해 마드리드로 오던중 병으로 사망했었습니다. 아마도 이사벨은 이 상황이 신께서 자신의 뜻을 들어줬다고 생각했을듯합니다.


칼라드라바 기사단의 문장

페드로 기론 파체코는 칼라드라바 기사단 단장이었는데 전통적으로 칼라드라바 기사단의 단장은 결혼이 허용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결혼을 강행했었는데 그가 갑작스럽게 죽은것은 이사벨 입장에서는 하느님께서 도와주신것이겠죠.-0-;;

드라마에서 난봉꾼으로 나오는것 처럼 페드로 파체코에게는 네명의 자녀가 있었으며 1459년 모두 자신의 적자로  교황에게 승인받았다고 합니다.-0-;;;;



그리고 이사벨의 정치적 입지가 더 중요해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사벨의 동생이자 카스티야의 왕위계승자였던 알폰소가 갑작스럽게 사망한것이었습니다. 그의 죽음은 다시한번 카스티야에 혼란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제 알폰소를 지지하던 귀족들은 이제 이사벨을 지지했었으며 이사벨은 동생의 권리를 이어받아 왕위계승권을 주장하게 됩니다.


다시한번 내전이 시작되지만, 이사벨은 곧 이복오빠인 엔리케를 만나 내전을 종식시키는 협상을 진행합니다. 이곳에서 엔리케는 이사벨을 자신의 딸인 후아나 대신 카스티야의 상속녀로 인정했으며,대신 이사벨은 엔리케의 허락없이 결혼하지 않겠다고 이야기합니다.

일단 이렇게 카스티야의 내분은 가라앉는듯 했습니다만, 이사벨의 결혼문제로 다시한번 엔리케와 이사벨은 갈등을 빚게 됩니다.


이사벨은 3살무렵 이미 나바라의 국왕 후안 2세의 아들인 페르난도와 혼담이 오갔었습니다. 후안2세는 카스티야 왕국의 방계 왕가 출신으로 아라곤 왕국의 왕자였으며 나바라의 여왕과 결혼해서 나바라의 공동국왕으로 있었었죠. 페르난도는 후안 2세의 두번째 아내의 아들로 나바라 왕위계승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었습니다만 여러가지 가문의 이익을 위해 이사벨과 페르난도의 혼담이 진행되었던듯합니다. 하지만 후안 2세는 형으로부터 아라곤왕국을 물려받게 되면서 일이 복잡하게 됩니다. 이전까지 엔리케 4세는 후안 2세와 동맹관계를 유지했었지만 그가 아라곤의 국왕이 되면서 그에게서 등을 돌리게 됩니다.이때문에 이사벨과 페르난도의 혼담이 깨지게 되죠.

이후 엔리케는 자신의 처남인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와 이사벨의 결혼을 추진했으며 이사벨이 이를 거부하자 카스티야의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권력자였던 페드로 파첸코와 결혼시키려하기도 했었죠.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


이사벨이 왕위계승자가 된이후에는 이사벨의 혼담은 매우 중요하게 됩니다. 그녀는 상속녀로 그녀의 남편은 카스티야의 국왕의 지위도 얻게 되는 것이었기에 많은 왕족들이 이사벨과의 혼담을 성사시키려합니다. 잉글랜드의 국왕이었던 에드워드 4세나 그의 동생중 한명(아마도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와 혼담이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엔리케 4세는 동생을 다시한번 처남인 포르투갈의 국왕인 알폰수 5세와 결혼시키려했었죠. 이 혼담은 정치적인 목적이 강했는데 이사벨이 알폰수와 결혼한다면, 엔리케의 딸인 후아나는 알폰수의 후계자인 후안과 결혼시킬수 있었는데 이사벨은 이런 상황이 결국 카스티야의 왕위가 포르투갈로 넘어가게 되는 상황으로 인식했었던듯합니다. 알폰수는 이사벨보다 20살이상나이가 많았고 결국 늙은 국왕이 이사벨과의 사이에 자녀가 없이 사망한다면, 후안과 후아나가 각각 포르투갈과 카스티야의 왕위를 얻게 될수 있었던것이죠. 이사벨은 이 혼담을 거부하고 자신의 첫 약혼자였으며 카스티야 왕가의 방계 가문 출신이었던 아라곤의 후계자 페르난도와의 혼담을 비밀리에 진행합니다.


아라곤의 페르난도

페르난도의 아버지였던 아라곤의 알폰소 5세는 장남이 아니었고  이때문에 나바라의 여왕과 결혼해서 나바라의 국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형이 후계자없이 사망하면서 아라곤도 물려받게 됩니다.하지만 페르난도는 나바라의 여왕의 아들이 아니라 알폰소 5세의 두번째 부인의 아들이었으며 이때문에 아라곤만 물려받게 됩니다.


엔리케는 포르투갈과의 혼담이 깨진뒤에도 또다른 동맹자를 찾게 되죠. 그는 루이 11세의 동생인 베리 공작 샤를 드 발루아와 이사벨의 혼담을 진행하려합니다. 엔리케 입장에서는 여동생을 프랑스로 시집보내므로써 프랑스와 카스티야의 우호는 물론, 이사벨을 카스티야에서 멀어지게 만듬으로써 그녀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키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사벨은 이 혼담 역시 거부했었죠.


페르난도의 아버지인 아라곤의 후안 2세와 이사벨 사이에 비밀리에 혼담이 진행됩니다. 그리고 1469년 페르난도와 이사벨의 약혼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 발표 다음날 정식으로 결혼합니다. 하지만 둘의 결혼은 쉽게 이뤄진것이 아니었죠. 둘은 육촌관계였고 중세 가톨릭교회는 이런 친척관계의 결혼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았기에 교황의 허락이 필요했는데 당시 교황이었던  바오로 2세는 둘의 결혼을 허락하는 사면장을 내려리지 않았습니다. 결국 추기경인 로드리고 보르자(후에 교황 알렉산데르 6세,체사레 보르자나 루크레치아 보르자의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서 이미 거서한 전임 교황 피우스 2세의 사면장을 통해서 둘이 결혼할수 있었다고 합니다.--;;;;;;(사기 결혼??)



이사벨과 페르난도의 가계

알고보면 같은 가문입니다. 모계도 아니고 부계로 말입니다. 

가계도 그리다 말았는데 사실 포르투갈쪽과 엮이면서 더 복잡한 친척관계입니다만, 그냥 부계로만 명기해서 친척관계임을 보여주고 있는것이 더 편해서 말입니다.



이런 상황은 엔리케와 이사벨의 사이를 다시 벌렸을듯합니다. 이사벨은 엔리케의 허락없이 결혼하지 않겠다고 했었지만 결국 엔리케의 허락없이 결혼했었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이전에 벌어졌었던 내전은 일어나지 않고 조용히 지나게 됩니다 그리고 엔리케 4세는 1474년 사망했으며 이사벨은 오빠의 뒤를 이어 카스티야의 왕위를 이어받게 되죠. 


하지만 이제 다시 카스티야는 전쟁의 기운에 휩쌓이게 됩니다. 엔리케의 딸인 후아나를 지지하는 귀족들은 후아나의 외가인 포르투갈을 등에 업고 카스티야와의 전쟁을 시작했었기 때문이었죠.


자료출처

위키 피디어

그림출처

위키 미디어 커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