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신성로마제국의황후들(완결)

신성로마제국의 황후들...번외편4.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페르디난트 2세의 첫번째부인)

엘아라 2012. 4. 26. 06:00

안녕하세요 엘입니다.


ㅠ.ㅠ 진짜 좌절의 마리아 안나입니다.

흑...자료가 없어요....

뭐 굳이 하자면 가족 관계로 떼워도 되긴하지만 그래도 그녀에 대한 평가를 찾아보고 싶은데 어째 없군요--;;

독일어 위키에도 안나오고 말입니다.


신성로마제국의 황후들...번외편4.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페르디난트 2세의 첫번째부인)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오스트리아의 대공비

Maria Anna of Bavaria 

(8 December 1574 – 8 March 1616) 

주걱턱인 이유는 할머니가 합스부르크가문 출신이라서 그렇습니다.-0-;;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는 바이에른 공작인 빌헬름 5세와 그의 부인인 로렌의 레타나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바이에른의 공작인 빌헬름 5세는 바이에른 공작인 알브레히트 5세와 오스트리아의 안나의 아들이었는데 안나는 황제 페르디난트 1세와 그의 부인인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안나의 딸이었습니다. 마리아 안나와 같은 이름을 가졌던 고모 마리아 안나는 외삼촌인 오스트리아의 카를 대공과 결혼했습니다.

로렌의 레타나는 로렌 공작 프랑스아와 그의 부인인 덴마크의 크리스티나의 딸이었는데 레타나의 외할머니이자 덴마크의 왕비였던 이사벨라는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여동생이기도 했습니다.



마리아 안나의 부모

바이에른의 공작 빌헬름 5세와 그의 부인인 로렌의 레타나


마리아 안나는 26살이 되던 1600년 자신보다 네살 어린 사촌인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트 대공과 결혼합니다. 둘의 결혼은 바이에른과 합스부르크가문과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죠. 마리아 안나의 남편이 된 페르디난트 대공은 오스트리아의 대공이자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아들인 카를 대공과 그의 부인인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의 아들이었습니다. 앞에서 말한 고모 마리아 안나의 아들이었죠. 이때문에 마리아 안나와 페르디난트는 사촌관계이기도 했습니다. (꼬인족보-0-;;)



가계도

페르디난트 3세와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1세의 아들의 턱이 심히 걱정이 되었습니다만 의외로 미화가 심해서 초상화상으로는 심한 주걱턱이 아닌듯도 해보였습니다. 하지만 초상화를 못믿을 이유는 페르디난트 3세 아들들의 상태가..-0-;;; (특히 레오폴트 1세!!)




페르디난트는 후계자가 없던 친척들에게서 영지를 상속받기 시작했는데 그는 가톨릭에 열성적이었기에 자신의 영지에서 신교를 믿던 사람들에 대해서 제재를 가하기 시작합니다. 이것은 나중에 30년 전쟁이 일어나는 결정적인 요인중 하나로 작용하게 되죠.

마리아 안나는 정치에 전혀 관계하지 않고 남편이 하는 일을 지켜보고 늘 따르는 역할만을 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도 매우 열렬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남편과 아이들도 열렬한 가톨릭신자였던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녀 역시 신앙심이 깊었으리라 추정됩니다.

마리아 안나와 페르디난트는  행복한 결혼생활을 했다고 합니다. 



황제가 되기전의 페르디난트 2세

턱이 예사롭지 않죠.-0-;;



마리아 안나와 페르디난트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중 성인으로 성장한 아이들은 모두 네명으로 아들인 페르디난트는 후에 황제가 되었고, 딸인 마리아 안나는 다시 외삼촌인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1세와 결혼합니다. 그리고 다른 딸인 체칠리아 레타나는 폴란드의 국왕인 브와디스와프 4세와 결혼하죠. 그리고 아들인 레오폴트 빌헬름은 네덜란드 총독이 되는데 독신으로 사망했으며 그는 많은 예술품을 남겼습니다. 


 

마리아 안나의 아들들

페르디난트3세와 레오폴트 빌헬름 대공

 

 

 

마리아 안나의 딸

마리아 안나와 체칠리아 레타나

마리아 안나는 바이에른의 공작부인이 되었고 체칠리아 레타나는 폴란드 왕비가 됩니다.

 

 


마리아 안나는 남편이 정식으로 합스부르크가문의 후계자가 되기 전인 1616년 사망합니다. 그녀의 남편인 페르디난트는 1617년 자식이 없던 사촌인 마티아스 황제의 후계자로 인정받았고 마티아스가 죽은뒤 황제가 됩니다.


자료출처

위키 피디어

그림출처 

위키 미디어 커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