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엘입니다.
전 인물화를 참 좋아한답니다. 좋아하는 작가는 벨라스케스,빈터할터,드라즐로랍니다.
벨라스케스는 무척이나 뛰어난 화가였다고 합니다. 그는 세밀화가 주류이던시대에 과감한 붓터치 기술을 사용했고, 후에 이것은 인상파화가들에게 영향을 줬다고 합니다. 또 그는 인물을 배경을 생략하기도 했는데,배경을 생략한 벨라스케스의 그림을 본 마네가 영감을 얻어서 "피리부는소년"을 그렸다고 하죠.(덕분에 욕먹었다는...ㅎㅎㅎ)
벨라스케스가 과감한 미술시도를 할수있었던것은 본인의 재능이 뛰어나기도 했지만, 특히나 왕의 총애받는 신하였기에 감히 그의 그림에 대해서 함부로 평할사람이 없었다는것이 가장큰 이유가 아닐까...하는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하지만 그는 매우 뛰어난 화가였다고 합니다.교황 이노센트 10세의 초상화에 대한 평가는 본인보다더 실제같다...던가 였다고 합니다.(뭐 책에 더 많이 적혀있긴하던데...기억이..ㅎㅎㅎ )
벨라스케스의 그림중 유명한 그림중 하나인 "시녀들 Las Meninas"라는 그림이라고 합니다. 어린 공주의 주변인물들을 묘사한 그림으로 하여튼 유명하댑니다.(왜유명한지는 도록에서 읽었는데 기억이 안난다죠..아하하..) 거기 주인공은 스페인-합스부르크가의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로 펠리페4세의 딸입니다. 벨라스케스는 그녀의 그림을 연작시리즈로 그렸습니다. 때문에 그의 그림으로 매우 유명한 공주님이죠.
벨라스케스의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의 그림은 후에 라벨에게도 영향을 줘서 그림을 본후 라벨은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를 작곡했다고합니다.
스페인의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
안판타 마르가리타 테레사
신성로마제국의 마르가레테 테레지아 황후
Margaret Theresa of Spain
(Spanish: Margarita Teresa de España),
(German: Margarete Theresia von Spanien)
(August 12, 1651 - March 12, 1673)
스페인의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는 스페인-합스부르크의 공주로 스페인의 펠리페4세와 그의 조카이자 두번째 부인인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의 마리아나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펠리페4세는 처음에는 앙리4세와 마리드 메디치의 딸인 엘리자베트 드 부르봉(이사벨라 왕비)와 결혼했습니다. 그는 아들 발타자르와 조카인 마리아나를 결혼시켜려 생각했죠. 하지만 후계자인 발타자르와 부인인 엘리자베트를 잃은 그는 조카와 결혼합니다. 합스부르크가는 결혼으로 영지를 확장해나갔고, 재산을 지키기위해 근친결혼을 많이 했습니다.
마르가리타 테레사가 10살이 될때까지 살아남은 동생이 없었기에, 마르가리타 테레사를 잠정적인 스페인의 왕위계승자로 생각했습니다. 사실 마르가리타 테레사에게는 이복언니가 있었죠. 루이14세의 왕비가 되는 마리 테레즈가 바로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언니였습니다. 하지만 마리 테레즈는 스페인의 숙적인 프랑스 왕비가 되었기에,결국 마르가리타 테레사가 유력한 왕위계승후보였죠. 스페인을 잃지 않기위해 역시 마르가리타 테레사도 정략결혼이 약속됩니다. 대상자는 어머니 마리아나의 동생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인 레오폴트1세죠. 펠리페4세는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초상화를 정기적으로 오스트리아로 보냈고, 레오폴트는 자신의 미래의 신부에게 반합니다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이복언니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후에 프랑스의 마리 테레즈 왕비
벨라스케스의 작품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어린시절에는 흰피부와 금발에 푸른눈을 가진 너무나 예쁜 소녀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문의 특징인 스페인-합스부르크가의 기형인 주걱턱이 심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펠리페4세가 가장 사랑하는 딸이었고, 사적인 편지에서 "나의 기쁨"이라고 부를정도였다고합니다.
그녀의 아름다움은 벨라스케스에 의해서 더욱더 빛을 내게됩니다. 인물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그려내던 벨라스케스는 이 아름다운 공주에 대한 연작시리즈를 그렸고, 아이들에 대한 탁월한 표현력을 드러냅니다.
(벨라스케스의 사위가 거의 완성한 분홍옷을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는 뭐랄까 꼭 인형처럼 보여서...그닥..--;;차라리 그전의 푸른옷이 더 나아요.-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그림)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부모
스페인의 펠리페4세와 마리아나(마리아-안나)왕비
역시나 둘다 벨라스케스 작품
아버지가죽은 직후인 1666년 15살의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결혼하기 위해 오스트리아로 갔고, 레오폴트1세와 비엔나에서 결혼했습니다. 둘은 나이차가 많이 났지만, 매우 행복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린나이에 많은 아이들을 낳은 것과 많은 유산을 한것이 원인이 되어서 건강이악화되었고, 21살의 나이로 사망합니다. 사랑했던 부인을 잃은 레오폴트1세는 무척이나 상심했다고 합니다. 그녀는 비엔나에 묻혀있다고 합니다.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남편
신성로마제국의 레오폴트1세
레오폴트1세와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아이들중 성인이될때까지 살아남은 아이는 딸인 마리아 안토니아밖에 없었습니다. 그녀는 후에 바이에른의 선제후와 결혼했고, 그녀의 아들인 요제프 페르디난드는 스페인의 추정왕위계승자가됩니다.
하지만 그는 왕위계승전 사망했고, 이때문에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이 일어나죠. 결국 스페인 왕위는 부르봉가로 넘어가게됩니다. -루이14세는 어머니 안왕비(펠리페3세의 딸), 부인 마리 테레즈(펠리페4세의딸)의 계승권리를 들어 손자인 필피프를 왕위계승자로 밀었고. 합스부르크가에서는 숙적인 프랑스에 스페인을 넘겨줄수가 없어서 레오폴트1세의 아들이자 요제프1세의 동생인 카를대공이 스페인 계승권을 주장합니다. 처음에는 프랑스를 견제하려던 영국등의 영향으로 카를대공이 유리했으나, 요제프1세가 사망하면서 카를대공이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카를6세가 되자, 합스부르크가를 견제하기 위해 결국 루이14세의 손자인 필리프를 왕위계승자로 인정하는대신 프랑스의 왕위계승권을 포기한다는 조건이 붙게됩니다.
딸 마리아 테레사를 넘겨(--;;)주는 펠리페4세
저기 왼쪽이 루이14세 오른쪽이 펠리페4세입니다.
참고로 펠리페4세는 루이 14세의 외삼촌이자 고모부--;;;(또 요상한 족보관계..)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초상화들
회화사에 길이남는다는 작품인 라스 메니나스(시녀들)
마드리드의 프라도 박물관 소장
원래는 가족들이라는 이름으로 붙여졌고 후에 19세기던가에 현재 이름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고합니다.
가운데있는 금발머리 소녀가 바로 마르가리타 테레사입니다.
어린 공주의 주변인물들을 묘사한 작품으로 부모인 왕과 왕비는 거울속에비춰진모습으로 표현되고있습니다.
벨라스케스는 후에 작위를 받은후, 이 그림에 자신의 가슴에 가문의 상징을 덧붙여 그려넣었다고합니다.
분홍옷을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 (1654)
비엔나 미술사 박물관 소장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 (1655)
파리 루브르 박물관소장
흰옷을 입은 마르가리테 테레사 공주 (1656)
비엔나 미술사 박물관 소장
푸른옷을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 (1659)
비엔나 미술사 박물관 소장
분홍옷을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 (1660)
프라도 박물관 소장
이 그림은 벨라스케스의 사위가 완성했다고 합니다.
사실 앞쪽그림들과 좀 다른 모습이라 벨라스케스 그림이 맞나 싶더라구요.^^*
다음은 다른 사람들의 작품들
상복을 입은 스페인의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 (1666)
프라도 박물관 소장
벨라스케스의 사위 Juan Bautista Martínez del Mazo 의 작품
아버지 상복을 입은 모습입니다.
신성로마제국의 레오폴드1세와 그의 황후인 마르가레테 테레지아황후 (1667)
Jan Thomas van Ieperen의 작품
자료&그림출처
위키피디어
'역사이야기 > 합스부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스부르크의 안면유전 Habsburg jaw(Habsburg lip)....(5)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 두번째 (0) | 2011.08.26 |
---|---|
합스부르크의 안면 유전 Habsburg jaw(Habsburg lip)...(4)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첫번째 (0) | 2011.08.19 |
합스부르크가의 안면 유전 Habsburg jaw(Habsburg lip) :(3) 근친결혼 - 스페인 (0) | 2011.07.29 |
합스부르크가의 유전 : Habsburg jaw(Habsburg lip) : (2) 어떻게 심해지는가? (0) | 2011.07.22 |
합스부르크가의 안면 유전 : Habsburg jaw(Habsburg lip) : (1)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0) | 201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