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합스부르크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45)마리아 엘리자베트 :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

엘아라 2013. 7. 23. 06:00

안녕하세요 엘입니다.


음냐 마리아 테레지아가 아이를 많이 낳긴 많이 낳았군요...-0-;;;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45)마리아 엘리자베트 :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Archduchess Maria Elisabeth Josepha of Austria 

(13 August 1743 – 22 September 1808)


마리아 엘리자베트 요제파 여대공은 1743년 프란츠 슈테판과 마리아 테레지아의 여섯째아이로 태어났습니다.어린시절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들중 제일 예쁜 딸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아름답지만 가벼운 성격이었기에 성인이 될 무렵, 마리아 테레지아는 이 예쁜 딸에 대해서 "coquette"(대충 지적인것보다는 좀더 외모만 치중하는 사람이라는 뉘앙스였던듯합니다.)라고 언급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마리아 엘리자베트의 부모

신성로마제국의 프란츠 1세와 그의 부인인 보헤미아 헝가리의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


어쨌든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예뻤고 이때문에 그녀는 가능한한 가장 높은 신분의 남자와 결혼할수 있으리라 여겨졌었습니다.하지만 마리아 엘리자베트의 혼기가 찼을때 그녀가 결혼 할만한 높은 지위의 남자들이 많지 않았습니다. 특히 7년전쟁기간동안이었기에 정치적 상황은 마리아 엘리자베트가 남편감을 구하는데 더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어린시절의 마리아 엘리자베트


1868년 루이 15세의 왕비가 죽자,마리아 엘리자베트는 루이 15세의 왕비감으로 이야기되기 시작합니다. 프랑스측에서는 이 혼담에 대해서 적극적이었는데, 새 왕비가 온다면 루이 15세의 연애질을 어느정도 잠재울수 있을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추진되던 오스트리아-프랑스간의 동맹관계에도 더욱 좋은 영향을 줄것이라 생각했었기 때문입니다. 현 프랑스 왕비와 다음 프랑스 왕비가 모두 오스트리아 여대공이라면 두 나라사이의 관계는 더욱더 돈독해질것이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이 혼담은 성사되지 않았는데 아이러니 하게도 마리아 엘리자베트의 외모때문이었습니다.어린시절의 빛나던 외모는 1767년 천연두를 앓으면서 얼굴에 흉터를 남겼었으며 이 흉터는 매우 심해서 이제 더이상 마리아 엘리자베트에게 혼담이 들어오지 않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마리아 엘리자베트


결국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더이상의 혼담없이 언니인 마리아 안나와 함께 미혼으로 남게 됩니다.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라이젤(Liesel)"이라는 애칭으로 불렸습니다. 하지만 궁정에서 노처녀로 늙어가면서 신랄한 말투에 나이 들면서 점차 살이 찌기 시작했었다고 합니다. (...신랄한 말투는 요제프 2세도 그렇고, 마리아 크리스티나도 그렇고... 마리아 테레지아 자녀들의 특징인듯...--;;;)마리아 엘리자베트는 어머니에 의해 수녀원의 고위성직자가 됩니다만,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가 살아있는 동안 언니 마리아 안나와 함께 수녀원에 들어가서 생활하지 않고 황실 거주지에서 살았습니다.



마리아 엘리자베트


1780년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가 세상을 떠난후,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오빠인 요제프 2세에 의해서 궁정을 떠나라는 명을 받게 됩니다. 요제프 2세는 어머니와 마찰을 자주 빚었었으며 이때문에 어머니 주변에 남아있던 누이들인 마리아 안나,마리아 크리스티나, 마리아 엘리자베트가 궁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것을 탐탁치 않아했었을듯합니다. 마리아 안나는 궁정에 남는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었으며,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총독으로 보내버렸었죠.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요제프 2세에 의해서 수녀원 원장으로 임명되었고 인스부르크로 가게 되죠. 

마리아 엘리자베트는 나폴레옹에 의해 인스부르크가 바이에른 왕국에 편입되는 1806년 1월까지 인스부르크에 머물렀습니다.  이후 그녀는 빈으로 옮겨갔으며 그뒤 린츠에서 살다가 사망합니다.



마리아 엘리자베트

..아버지의 얼굴이 보이는군요..-0-;;;

프란츠 슈테판 초상화를 좀 봤더니 알아보겠다는...


자료출처

위키 피디어

그림출처

위키 미디어 커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