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합스부르크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29) 티롤의 이사벨라 클라라 : 페르디난트 1세의 증손녀

엘아라 2013. 2. 26. 06:00

안녕하세요 엘입니다.


드디어 방계가문으로 가게 됩니다만, 대공 카를 2세의 아들들중 후손이 있는 자녀들은 황제가 되는 페르디난트2세와 Further Austria의 통치자가 되는 대공 레오폴트 5세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레오폴트 5세의 가계도 아들대에서 남성직계가 단절되게 되죠.


그래서 이쪽 가계를 미리 하고 할까합니다.

다른 방계가문은 좀 다르게 할텐데 이를테면 마리아 테레지아 이후의 방계 가문은 본가 다하고 나서 방계가문 보는 식으로 할겁니다.


합스부르크의 여대공들...(29) 티롤의 이사벨라 클라라 : 페르디난트 1세의 증손녀





티롤의 이사벨라 클라라

만토바 공작부인

Isabella Clara of Austria 

(12 August 1629 – 24 February 1685)



티롤의 이사벨라 클라라는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증손녀로, Inner Austria의 대공이었던 카를 2세의 손녀입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카를 2세의 아들인 대공 레오폴트로 그는 원래 사제의 길을 가고 있었죠. 하지만 사촌이었던 Further Austria의 통치자였던 대공 막시밀리안 3세가 사망하자 그는 그의 뒤를 이어 Further Austria의 통치자가 되었고 그후 환속했으며, 친척관계였던 토스카나 대공의 딸이었던 클라우디아 데 메데치와 결혼했습니다. 이 결혼으로 자녀들이 태어났는데 이사벨라 클라라는 레오폴트와 클라우디아의 성인으로 성장한 자녀들중 큰딸이었습니다.



이사벨라 클라라의 부모

티롤의 레오폴트 5세와 클라우디아 데 메데치



이사벨라 클라라는 1649년 20살무렵 만토바공작이었던 카를로 2세 곤자가와 결혼하게 됩니다. 이결혼은 합스부르크가문과 만토바 공작 가문 사이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죠. 그리고 이듬해인 1650년에는 카를로 2세의 누이동생인 엘레오노라가 이사벨라 클라라의 사촌이었던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결혼하게 되죠.

이사벨라 클라라와 카를로 2세의 결혼은 정치적으로 중요했는데 만토바 공작은 이로써 프랑스로부터 카살레 지역을 얻게 되었으며, 뿐만 아니라 에스파냐로부터 몬테페라토에 대한 영향력을 배제할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사벨라 클라라의 남편

만토바 공작 카를로 2세 곤자가



카를로 2세와 이사벨라 클라라의 결혼은 정치적 목적이 강했고 이때문에 둘은 그다지 행복하지 않았습니다. 카를로 2세는 이사벨라 클라라와 결혼하기 전 이미 정부였던 마르가리타 델라 로베레가 있었으며 결혼후에도 마르가리타와의 관계를 지속했었습니다. 또 카스트라토였던 아토 멜리니와도 연애관계가 있다고 알려지게 되는데 정확한 물증이 없지만, 상황증거는 꽤나 그럴듯하게 여겨지는듯합니다.

결혼초 이사벨라 클라라는 마르가리타를 쫓아낼려고 교황에게 호소하기도 했었습니다만, 그녀와 남편과의 관계는 그다지 계선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둘 사이에서는 후계자가되는 아들인 카를로 만이 태어납니다.



페르디난도 카를로 곤자가

만토바 공작

이사벨라 클라라의 아들


남편과의 불행한 관계는 이사벨라 클라라 역시 다른 남자에게 관심을 돌리도록 했다고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녀는 궁정 조신이었던 카를로 불가리니 백작과 연애관계에 있었다고 여겨집니다


1665년 이사벨라의 남편인 카를로 2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이사벨라의 아들인 카를로가 만토바 공작이 됩니다. 이사벨라는 어린 아들의 섭정이 되는데, 이사벨라는 연인인 불가리니 백작을 수상으로 임명했었습니다. 섭정으로써 이사벨라는 꽤나 성공적이었고 아들이 성인이 된 후에도 아들의 정치적 조언자로 남을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사벨라와 불가리니 백작과의 관계가 드러나면서 큰 문제가 됩니다.  이 문제는 결국 황제인 레오폴트 1세가 관여해야할 정도였죠. 황제는 이사벨라에게 수녀원으로 들어가도록 명령을 내렸고 1671년 이사벨라는 수녀원에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남은 여생을 수녀원에서 보냈습니다.


자료출처

위키 피디어

그림출처

위키 미디어 커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