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하..안녕하세요 엘입니다.
음냐 사실 이번글은 그림을 다 찾아놨는데...... 아돌푸스나 다른 왕족들에 대해 글읽기가 싫어서 그냥 버려둔거라죠... 지금 써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입니다...(흑..오랫만에 늦게까지 안자고 있는데 동이를 못봤거든요..ㅠ.ㅠ)
지금 잠이 오긴하나..=-=;;;써보는데까지 써보렵니다.
조지3세의 아들인 캠브리지 공작 아돌푸스는 군인으로 살았습니다.
그 역시 조카이자 왕위계승순위1위였던 샬럿이 출산중 사망한후, 결혼합니다. 그는 육촌인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와 결혼합니다. 하지만 그는 위로 형들이 줄줄이 있었기에 왕위계승순위가 밀렸습니다.
후에 빅토리아 여왕이 즉위할때까지 하노버의 총독으로 있었고, 빅토리아 여왕이 즉위하면서,하노버의 왕위는 아돌푸스의 형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에게로 넘어가고 그는 영국으로 돌아옵니다.
외손녀인 테크의 메리는 영국의 조지5세와 결혼해서 영국 왕비가 됩니다.
아돌푸스 왕자
캠브리지 공작
Prince Adolphus of Great Britain, Duke of Cambridge
부모 : 영국의 조지3세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샤를로테
출생일 : 1774년 2월 24일 버킹엄 하우스 (현재 버킹엄 궁전)
세례식 : 1774년 3월 24일 성 제임스 궁
대부모
1.작센-고타의 요한 아돌프 (아버지의 외삼촌, 1대 허트포드 백작 프랜시스 시무어-콘웨이가 대리)
작센의 요한 아돌푸스
요한 아돌푸스는 조지3세의 외삼촌입니다.
2.헤센-카셀의 카를 (아버지의 사촌, 4대 저세이jersay 백작 조지 빌리어스가 대리)
헤센-카셀의 카를
카를의 어머니인 메리는 조지2세의 딸로, 조지3세의 고모입니다.
3.오라녜 공비 (프로이센의 프레데리케 빌헬미네, 빌렘5세의 부인, 에핑햄 백작부인이 대리)
프로이센의 빌헬미나
오라녜 공비
아버지 사촌의 부인
빌헬미나의 남편인 오라녜공 빌렘5세의 어머니가 조지3세의 고모인 앤 공주입니다.
참고로 빌헬미나의 할머니는 조지1세의 딸인 조피 도로테아입니다.
캠브리지 공작의 아들은 조지로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캠브리지 공작이 됩니다.
조지 역시 영국 육군으로 복무했으며, 무려 34년간 총사령관으로 복무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총사령관이었던동안 영국의 군대는 아주 약해졌다고 합니다.-0-;;;
왕족출신의 여성과 결혼하지 않았기에, 영국 군주의 허락이 필요했지만, 빅토리아 여왕은 아버지가 다른 아이가 넷이나 있던(물론 둘은 조지의 자녀들) 여배우와의 결혼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영국의 조지 왕자
캠브리지 공작
Prince George of Great Britain, Duke of Cambridge
부모 : 영국의 아돌푸스 왕자, 캠브리지 공작 과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
캠브리지 공작부인
출생일 : 1819년 3월 26일 하노버의 캠브리지 하우스
세례식 : 1819년 5월 11일 하노버
세례명 : 조지 윌리엄 프레드릭 찰스 (독일식으로는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카를 쯤 되겠죠)
대부모 [완벽한 명단이 아님]
1. 섭정 왕자 (웨일즈공, 조지4세, 백부)
조지4세
2. 클라렌스 공작 (후에 윌리엄4세, 백부)
윌리엄4세
아돌푸스의 딸은 아우구스타로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비가 됩니다.
그녀는 조카인 메리 왕비와 매우 친하게 지냈고 메리 왕비는 늘 이 이모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빅토리아 여왕의 사촌이었던 그녀는 무척이나 성미가 고약한 사람으로 알려졌는데, 어떤일에대해서 신랄한말을 서슴없이 남겨서였습니다. (이를테면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결혼식때 알렉산드라 왕비가 참석하는것에 대해서 "고작 급조된 국왕의 네째아들과 사생아의 딸의 결혼식"에 왕비가 온다고 불평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자기 조카인 메리도 귀천상혼한 가문 출신인데 그럼 안되시죠..-0-;;)
영국의 아우구스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비
Princess Augusta of Great Britain
부모 : 영국의 아돌푸스 왕자, 캠브리지 공작과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
출생일 : 1822년 7월 19일 하노버 근처의 몬트브릴란트 성
세례식 : 1822년 8월 16일 몬트브릴란드 성
세례명 : 아우구스타 캐롤라인 샬럿 엘리자베스 메리 소피아 루이사
대부모
1. 요크공작, 프레드릭 왕자 (백부)
요크공작 프레드릭
백부
2. 뷔르템베르크의 왕비 (프린세스 로열 샬럿, 고모)
샬럿왕비
3. 헤센의 선제후비 (프로이센의 아우구스테, 어머니 사촌인 헤센의 빌헬름2세의 부인)
프로이센의 아우구스테
헤센의 선제후비
4.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비 (헤센의 마리, 이모)
5. 헤센-홈부르크의 백작부인 (영국의 엘리자베스 공주, 고모)
엘리자베스 공주
헤센-홈부르크의 백작부인
6. 글로스터 공작부인 (영국의 메리 공주, 고모)
7. 아우구스타 공주 (고모)
8. 소피아 공주 (고모)
9. 헤센-카셀의 공비 샤를로테 루이사 (추정,덴마크의 샤를로테 외숙모)
10. 헤센의 카롤리네 백작부인 (추정,나사우-우징겐의 카롤리네, 외할머니)
11. 나사우-우징겐의 루이사 (추정, 어머니의 이모)
아돌푸스의 막내딸은 메리 아델라이드로 테크의 공작부인이 됩니다.
팻메리라는 애칭으로 불린 메리 아델라이드는 매우 뚱뚱해서 결혼하기 힘들것이라고 여겨졌습니다. 노처녀로 늙어가던 그녀를 위해 빅토리아 여왕과 의회는 돈을 마련합니다.=0-;;; 영국여왕의 사촌이었지만 나이와 외모때문에 결국 신분이 낮은 사람을 택할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뷔르템베르크 왕가의 한 분가중 귀천상혼한 가문 출신인 호엔슈타인 공인 프란츠가 그녀의 결혼상대자가 됩니다. 프란츠의 아버지는 뷔르템베르크 국왕의 손자였지만, 어머니가 왕족이 아니었기에 호엔슈타인 백작부인(또는 여백작)칭호를 받았으며 아이들은 모두 호엔슈타인 백작/여백작이 됩니다. 이후 뷔르템베르크 왕가에서 그의 지위를 "공"으로 올려주었고 메리 아델라이드와 결혼한후 테크 공작 지위를 줍니다.
둘의 딸인 메리가 바로 조지5세의 부인인 메리 왕비입니다.
영국의 메리
테크 공작부인 "팻메리"
Princess Mary Adelaide of Great Britain
부모 : 영국의 아돌푸스 왕자, 캠브리지 공작과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
출생일 : 1833년 11월 27일 서리에 있는 리치몬드파크의 화이트 로지
세례식 : 1834년 1월 9일 하노버의 캠브리지 하우스
세례명 : 메리 아델라이드 빌헬미나 엘리자베스
메리라는 이름은 아버지가 가장 좋아한 누이인 글로스터 공작부인 메리의 이름에서, 아델라이드는 백모인 윌리엄4세의 왕비 아델라이드 왕비의 이름에서, 빌헬미나는 백부인 윌리엄4세의 이름에서 그리고 엘리자베스는 고모인 헤센-홈부르크 백작부인 엘리자베스의 이름에서 딴것입니다.
대부모
1. 영국의 윌리엄4세 (백부)
윌리엄4세
2. 영국의 아델라이드 왕비 (백모, 윌리엄4세의 부인)
작센-마이닝겐의 아델라이드
아델라이드 왕비
3. 글로스터 공작부인 (메리 공주, 고모)
메리 공주
글로스터 공작부인
4.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대공비 (헤센-카셀의 마리, 이모)
5. 헤센-홈부르크의 백작부인 (엘리자베스 공주, 고모)
엘리자베스 공주
헤센-홈부르크의 백작부인
6. 안할트-데사우의 프리드리히 공비( 헤센-카셀의 마리, 외사촌)
자료출처
1.Yvonne's Royalty Home Page
http://mypage.uniserve.ca/~canyon/index.htm
2.위키피디어
그림출처
위키피디어
'역사이야기 > 영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마백작부인 에드위나 마운트배튼 (에드위나 애쉴리) (0) | 2010.09.14 |
---|---|
하노버 가문의 스캔들...1.조지1세와 그의 부인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 (0) | 2010.09.11 |
알바니의 찰스 에드워드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카를 에두아르트 (0) | 2010.04.10 |
영국 왕실의 유전병 : 포르피린 증 (0) | 2010.03.30 |
영국 왕실의 대부모들...17.조지3세의 아들들의 대부모들(1) (0) | 201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