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야기/Vivaldi

비발디의 Stabat Mater (RV621)

엘아라 2015. 4. 5. 06:30

안녕하세요 엘입니다.

 

알고보니 오늘이 부활절이더라구요.-0-;;

사실 부활절에는 부활절 다운 노래를 올려야하는데 왠지 슬픔에 빠진 성모의 이야기를 먼저 해야할것같아요.

(비발디의 글로리아를 올릴려고 하니까 이게 워낙 자료가 많아서 그냥 올릴곡이 아니더라구요. 아마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올릴까싶어요-0-;;;;)

 

비발디의 Stabat Mater (RV621)

 

 

 

십자가 밑에 있는 성모

 

Stabat Mater 또는 Stabat Mater Dolorosa는 13세기경 지어졌다고 여겨지는 성모를 위한 찬가중 하나입니다.일반적으로 이 시는 13세기 프란체스코회의 수도사였던 야코포네 다 토디(Jacopone da Todi)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만 그 외에도 교황 이노센트3세의 작품이라는 이야기도 있다고 합니다.

 

이 시는  성모의 일곱가지 슬픔(성모칠고)가 널리 공경받기 시작하면서 유행하게 되었던듯합니다. 주로 14세기 말엽무렵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많은 작곡가들이 이 시를 가지고 작곡을 했었죠.

 

Stabat mater dolorosa
juxta Crucem lacrimosa,
dum pendebat Filius.

Cuius animam gementem,
contristatam et dolentem
pertransivit gladius.

O quam tristis et afflicta
fuit illa benedicta,
mater Unigeniti!

Quae mœrebat et dolebat,
pia Mater, dum videbat
nati pœnas inclyti.

Quis est homo qui non fleret,
matrem Christi si videret
in tanto supplicio?

Quis non posset contristari
Christi Matrem contemplari
dolentem cum Filio?

Pro peccatis suæ gentis
vidit Iesum in tormentis,
et flagellis subditum.

Vidit suum dulcem Natum
moriendo desolatum,
dum emisit spiritum.

Eia, Mater, fons amoris
me sentire vim doloris
fac, ut tecum lugeam.

Fac, ut ardeat cor meum
in amando Christum Deum
ut sibi complaceam.

Sancta Mater, istud agas,
crucifixi fige plagas
cordi meo valide.

Tui Nati vulnerati,
tam dignati pro me pati,
pœnas mecum divide.

Fac me tecum pie flere,
crucifixo condolere,
donec ego vixero.

Juxta Crucem tecum stare,
et me tibi sociare
in planctu desidero.

Virgo virginum præclara,
mihi iam non sis amara,
fac me tecum plangere.

Fac, ut portem Christi mortem,
passionis fac consortem,
et plagas recolere.

Fac me plagis vulnerari,
fac me Cruce inebriari,
et cruore Filii.

Flammis ne urar succensus,
per te, Virgo, sim defensus
in die iudicii.

Christe, cum sit hinc exire,
da per Matrem me venire
ad palmam victoriæ.

Quando corpus morietur,
fac, ut animæ donetur
paradisi gloria. Amen.
At the Cross her station keeping,
stood the mournful Mother weeping,
close to her Son to the last.

Through her heart, His sorrow sharing,
all His bitter anguish bearing,
now at length the sword has passed.

O how sad and sore distressed
was that Mother, highly blest,
of the sole-begotten one.

Christ above in torment hangs,
she beneath beholds the pangs
of her dying glorious Son.

Is there one who would not weep,
whelmed in miseries so deep,
Christ's dear Mother to behold?

Can the human heart refrain
from partaking in her pain,
in that Mother's pain untold?

For the sins of His own nation,
She saw Jesus wracked with torment,
All with scourges rent:

She beheld her tender Child,
Saw Him hang in desolation,
Till His spirit forth He sent.

O thou Mother! fount of love!
Touch my spirit from above,
make my heart with thine accord:

Make me feel as thou hast felt;
make my soul to glow and melt
with the love of Christ my Lord.

Holy Mother! pierce me through,
in my heart each wound renew
of my Savior crucified:

Let me share with thee His pain,
who for all my sins was slain,
who for me in torments died.

Let me mingle tears with thee,
mourning Him who mourned for me,
all the days that I may live:

By the Cross with thee to stay,
there with thee to weep and pray,
is all I ask of thee to give.

Virgin of all virgins blest!,
Listen to my fond request:
let me share thy grief divine;

Let me, to my latest breath,
in my body bear the death
of that dying Son of thine.

Wounded with His every wound,
steep my soul till it hath swooned,
in His very Blood away;

Be to me, O Virgin, nigh,
lest in flames I burn and die,
in His awful Judgment Day.

Christ, when Thou shalt call me hence,
be Thy Mother my defense,
be Thy Cross my victory;

While my body here decays,
may my soul Thy goodness praise,
Safe in Paradise with Thee.

Translation by Edward Caswall
Lyra Catholica (1849)

내용은 아들의 죽음 지켜봐야하는 슬픔에 빠진 성모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십자가 매달려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봐야하는 어머니의 고통을 이야기하고 있죠.(대충 영어해석본을 보면 대충 그런듯합니다.-0-;;;)

 

비발디의 Stabat Mater는 비발디의 초기 성가곡들중 하나로 아마도 1711년에서1712년 사이에 작곡되었다합니다. 아마도 비발디는 이 곡을 "피에타"에서 작곡했지만 사실 이 곡을 의뢰한곳은 피에타가 아니라 브레스시아에 있는 산타마리아 델라 파체(Santa Maria Della Pace)에 1711년에 방문했었고 아마 이곳에서 다음해 축제기간에 쓸 음악을 의뢰받은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곡은 이전이나 이후 비발디의 곡들과는 매우 다른 양식이었는데 특히 경쾌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발디 초기 음악과는 좀 다른 모습이라고 합니다. 매우 조용하고 부드러우며 답답할 정도로 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슬픔에 빠진 성모"의 모습을 표현하는 것일듯합니다.

곡 전체는 주로 두가지 키로만 구성되어있다고 합니다.F단조와 C단조로 구성된 곡의 끝에 아멘파트는 F장조로 표현하므로써 곡 전체가 가지고 있는 무거움에서 벗어난다고 합니다.

 

곡은 아홉개로 나눠져있는데 20개의 시구를 다 사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앞쪽 10개의 시구만을 사용하고 있죠. 첫번째 세개의 악장에서는 네개의 시구를 사용하는데 첫번째와 두번째 시구는 첫번째와 두번째 악장에 대응되지만, 세번째 악장에는 세번째와 네번째 시구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다음 세악장은 앞의 세악장과 같은 형식으로 반복됩니다.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시구각 각각 네번째와 다섯번째 악장에 들어가며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시구는 여섯번째 악장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네번째 악장은 첫번째 악장의 되풀이이며 다섯번째 악장은 두번째 악장의 되풀이이고 여섯번째 악장은 세번째 악장의 되풀이입니다. 

그리고 다음 두 악장에는 아홉번째와 열번째 시구가 들어갑니다.

특히 일곱번째 악장은 거의 시를 읊듯이 노래 하고 있죠. 여덟번째 악장은 일곱번째 악장보다는 좀더 고조되면이 있지만 그래도 절제된 느낌의 곡입니다.(들어보면 압니다.--;; 제가 듣고 적고 있거든요.)

그리고 마지막 악장은 앞쪽과는 달리 비발디 특유의 화려한 "아멘"으로 끝나게 되죠.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런 화려한 아멘은 성모의 슬픔이 끝이 슬픔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던것이 아닐까합니다.

 

 

필립 자루스키

...-0-;; 사실 제가 자루스키 stabat mater를 별로 라고 생각하드랩니다.(나 팬맞아??)

르뮤걸 더 좋아했거든요.-0-;;;

그런데 이거 너무 많이 들어서 그런지 르뮤것이 적응이 안되요..ㅠ.ㅠ

(예전에 것보다는 이번 앨범 노래가 더 괜찮긴한데 그래도 르뮤것이 더 괜찮다고 생각했었는데 말입니다..ㅠ.ㅠ)

 

 

마리 니콜 르뮤

..사실 제가 이 노래는 르뮤 노래를 더 좋아했드랩니다.-0-;;;

 

 

제임스 보우만

1976년 녹음!!!!!!!

....늘 생각하지만 이분 오페라는 좀 제 취향이 아닌데 비발디 종교음악은 제 취향이신듯

 

 

안드레아스 숄

숄은 사실 제 취향은 아닌데(...목소리..참고로 외모는 자루스키보다 숄쪽이 더 제취향임-0-;;) 숄 비발디는 좋더라구요.-0-;;;;

 

 

자료출처

1.http://www.emmanuelmusic.org/notes_translations/notes_other/n_vivaldi_stabat_mater.htm

2. 위키 피디어

그림출처

위키 미디어 커먼스

※사용한 노래가사는 저작권의 소멸등의 이유로 저작권 보호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