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프랑스

서유럽 기독교의 수호자 : 성 클로틸드 (클로비스1세의 왕비)

엘아라 2012. 6. 11. 06:00

안녕하세요 엘입니다.


사실 월요일 시리즈를 갈아엎을려고 책을 빌리러 갔는데 뭘 해야할지 난감합니다.

지금 재미있게 읽고 있는 책이 불행히도 "빅뱅"에 대한 책입니다. 

어쩌다 베니 팬질을 하는 바람에....흑..ㅠ.ㅠ


그 빅뱅책 말고 다른 책 하나를 재미있게 읽고 있는데 제목이 "신의 용광로"입니다.

이슬람의 서유럽 진출에 대한 책인데 나름 재미있더라구요.

하여튼 거기 나오는 인물들에 대해서 쬐금씩 관심이 생겼답니다.

그중 클로비스1세의 부인인 클로틸드는 매우 흥미있는 인물이더라구요..ㅎㅎㅎ


서유럽 기독교의 수호자 : 성 클로틸드 (클로비스1세의 왕비)






성 클로틸드

클로비스 1세의 왕비

프랑크의 왕비

Saint Clotilde (475–545), 

ClothildeClotildaClotildRotilde or Chroctechildis 



로마는 4세기 동로마와 서로마로 나뉘게 되는데 서로마는 북쪽의 이민족에 의해서 멸망당하게 됩니다. (이쪽은 패스..--;; 전 로마는 잘 모르겠더라는...)  이 서로마는 현재 프랑스를 중심으로 하는 서유럽쪽이며 이곳을 다시 재 통일한 인물이 바로 메로빙거 왕조의 첫번째 국왕인 클로비스1세입니다.

클로비스는 로마인이나 로마에 동화되었던 부르고뉴쪽 사람들보다는 덜 세련된 프랑크 족이었죠. 그가 개종한 원인은 기독교의 숭고한 정신때문이 아니라 결혼덕분이었습니다. 바로 그의 아내인 클로틸드(클로트힐데)덕분이었죠.



클로비스 1세


클로틸드는 부르군트의 국왕이었던 Chilperic II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형제들과 함께 공동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493년 그는 동생인 군도발도에 의해서 살해당했으며 그의 부인은 목에 돌을 매단채 물로 밀어넣어졌죠. 하지만 클로틸드와 그녀의 자매는 목숨을 건져 도망갈수 있었습니다.

클로틸드는 당시 갈리아 북쪽지방을 점령했던 프랑크 족의 국왕인 클로비스1세와 결혼합니다.



클로비스와 클로틸드


클로틸드와 클로비스가 결혼했을때 클로비스는 기독교를 믿지 않았습니다만, 클로틸데는 어려서부터 기독교도로 성장했으며 신앙심이 매우 신실했다고 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남편을 개종시키기 위해 무척 노력했지만 잘 되지 않습니다. 매우 아름다운 모습으로 묘사되는 클로틸드는 아마도 이런 매력을 이용해서 남편을 개종시키려했습니다만 잘 되지 않았습니다. 클로틸드는 첫아들을 낳아서 남편을 기쁘게 했는데 남편을 설득해서 아이가 세례를 받도록 합니다. 하지만 세례식 직전 아이가 죽었고 클로비스는 이에 매우 화를 냈으며 기독교로 개종하는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클로틸드의 지속적 노력은 클로비스가 전투에서 패배할 위기에 달했을때 빛을 바랍니다. 클로비스가 이끄는 프랑크종은 하루종일 전투를 펼친끝에 궤멸당할 위기에 처합니다. 이렇게 되자 그는 할수있는 모든 일을 했는데, 아마도 아내가 그토록 이야기했었던 "하나님"께 도와달라고 간구하는 것이었죠. 그런데 클로비스가 하나님께 간구한후에 기적처럼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이에 클로비스는 자신은 물론 자신을 따르는 모든 부족 사람들을 기독교로 개종하게 합니다. 이는 상당히 중요한데, 갈리아 지방의 정체성을 닦은 인물이 바로 클로비스 1세였으며 그가 자신과 자신이 다스리는 지역의 종교를 기독교로 선택했기에 서유럽의 기독교는 굳건히 뿌리내릴수 있었죠. 



세례를 받는 클로비스 1세


클로틸드는 511년 남편이 사망한후 수도원으로 은퇴한후 다른이들을 돕는 삶을 삽니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아들들이 내전을 펼쳐서 손자들을 살해하는것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클로틸드는 죽은후 남편곁에 묻혔으며, 후에 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됩니다.



손자의 죽음을 지켜보는 클로틸드

15세기


성 클로틸드의 축일은 6월 4일이며, 신부,입양아,부모,과부,망명자를 수호한다고 합니다.



아들들과 함께 있는 클로틸드



자료출처

1.신의 용광로 :유럽을 만든 이슬람 문명 570-1215 (루이스,2010.책과함께)

2.위키 피디어

그림출처

위키 미디어 커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