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야기/Vivaldi

안토니오 비발디의 삶...(3) 연도에 따른 비발디의 간략한 삶

엘아라 2014. 12. 21. 06:00

안녕하세요 엘입니다.


--;;; 하여튼 이상하게 글을 쓰기 시작해서 참 제 맘에 안들게 글이 가고 있긴합니다만..

어쩌겠습니까 자료조사도 안하고 시작한 제 불찰인것을..흑


마지막에 연대기순으로 적어놨던데 일단 그걸 올려봅니다.

뭐 나중에 필받으면 자료 더 찾아서 글을 다시 쓰던가 말던가 해야할듯해요..ㅎㅎㅎㅎ


안토니오 비발디의 삶...(3) 연도에 따른 비발디의 간략한 삶



안토니오 비발디

(1678-1741)


1678년 3월 4일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 지오바니 바티스타 비발디와 그의 아내인 카밀라 갈리치오의 장남으로 베네치아에서 출생


1703년 3월 

사제로 서품. 오스페다레 델라 피에타에 바이올린 교사로 고용.

이후 비발디는 이곳 오스페달레 델라 피에타와 연관되어 평생을 보냅니다.


1705년

베네치아에서 그의 첫 작품집이 출판



비발디 작품집 1번중 12번째 곡

두대의 바이올린과 b.c.를 위한 소나타 G  단조


1706년 

이때 발간된 베네치아 여행객을 위한 가이드북에서는 안토니오 비발디와 그의 아버지를 베네치아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들이라고 소개.


1709년 

암스테르담에서 그의 두번째 작품집이 출판



비발디 작품집 2번중 첫번째 곡(RV27)

바이올린과 b.c.를 위한 소나타 G단조


1711년

비발디 세번째 작품집(L'Estero armonico)가 암스테르담에서 출판



L'Estero armonico 중 콘체르토 6번 A단조(RV356)


1713년

첫 오페라인 "Ottone in Villa"가 베네치아에서 무대에 올려짐



Ottone in Villa중 신포니아

이 신포니아의 특이한 점은 두대의 바이올린의 독주부분이 있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1714년

산안젤로 극장에서 작곡가이자 무대 감독으로 작업을 시작함.

암스테르담에서 네번째 작품집(La stravaganza)출간



La stravaganza 콘체르토 2번 E단조(RV279)


1716년

비발디가 오스페달레 델라 피에타에서 maestro de concerti로 승진함.(대충 음악과 학장쯤 되나?)

암스테르담에서 다섯번째,여섯번째,일곱번째 작품집 출간



비발디 작품집 7번중 바이올린 소나타 8번 G장조



1718-1720년

비발디가 만토바의 총독이었던 헤센-다름슈타트의 필립공의 궁정에서 "실내 음악 감독(director of chamber music)로 고용됨



헤센-다름슈타트의 필립 공

당시 만토바 총독

--;;;이분에 대해서 글을 한판 써야겠습니다.


비발디의 오페라 Tito Manlio중 Se il cor guerriero

드미트리 흐보로스토프스키 (바리톤)

비발디의 오페라 티토 만리오는 헤센-다름슈타트의 필립의 결혼식을 위해 작곡된 곡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만 필립공의 결혼식은 열리지 않았고 오페라는 그냥 무대에올려진듯합니다.-0-;;;;



1723-1724년

비발디가 로마로 감. 두개의 오페라를 공연. Pier Lone Ghezzi의 스케치가 이시기 작품



1723년 비발디



오페라 Giustino중 황제 아나스타시오의 아리아

Vedro con mio diletto

필립 자루스키

이 오페라는 로마에서 공연된 비발디 오페라였습니다.


1725년

암스테르담에서 8번째 작품집 Il cimento dell'amonia e dell'inventione가 출판 (이 작품집의 1,2,3,4가 비발디의 가장 유명한 곡이죠-0-;;;)



Il cimento dell'amonia e dell'inventione 중 5번 E flat 

"La tempesta di mare" (RV253)


작품집 8번에서 가장 유명한 1번--;;;;



1725년 작곡된 비발디의 또하나의 걸작

만돌린 콘체르토 C장조(RV425)

...이해 비발디 필좀 받으셨던듯..-0-;;;



1727년

암스테르담에서 9번째 작품집 La Cetra가 출판



La Cetra 중 11번 C단조



1728년

트리에스테에서 황제 카를 6세를 알현

암스테르담에서 10번째 작품집(6개의 플룻 콘체르토) 출판



작품집 10번중 3번

플룻과 현과 b.c.를 위한 콘체르토 D장조

"Il gardellino"(RV428)

...이건 리코더용으로 편곡된것 같더라구요.

이게 제가 처음 자루스키 필 꽂혔을때 하필 스피노지의 경쾌한 지휘에 같이 필이 꽂혀서--;;

한동안 이 공연 무진장 봤었는데 오늘 노래 찾다가 듣는데 "어랏 이것은.."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걸 넣습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 (팬질 만세)



1729년

비발디의 아버지는 아들의 중부 유럽 여행에 동행하기 위해 산마르코 성당의 오케스트라 지위를 일년간 휴직

암스테르담에서 11번과 12번째 작품집 출판



작품집 11번중 1번

바이올린,현,b.c.를 위한 콘체르토 D장조(RV207)


1731년

베네치아로 돌아옴


1735년

비발디는 다시 오스페달레 델라 피에타의 Maestro de concerti가 됨.


1737년

루포 추기경은 비발디가 오페라를 작곡하기 위해 페라라에 들어오는것을 금지함 




오페라 Farnace중 첫번째아리아

페라라에서 이 오페라를 무대에 올릴려고 햇는데 못햇다고 합니다.


1739년

비발디의 마지막 오페라 Feraspe가 베네치아에서 공연


1740년

5월 12일에서 24일사이 빈으로 떠남.


1741년

7월 27일과 28일 사이 비발디 사망

자료출처

http://www.antonio-vivaldi.eu/